인간의 몸의 전체적으로 연결 돼 있기 때문에 한 쪽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여러 곳에 피해를 줍니다. 특히 몸의 상·하체를 연결하고 중심을 잡아주는 골반은 신체 균형을 잡아주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의 골반이 다양한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이며, 앞·뒤, 좌·우로 복합적으로 틀어지기도 합니다. 골반이 틀어진 상태로 생활하다 보면 온몸으로 통증이 발생되고 신체 불균형이 평생 지속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골반의 불균형 상태를 누구나 쉽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전상장골극 이용한 확인방법

골반 뼈 중 가장 넓은 뼈를 장골이라고 하는데 장골이 양 쪽으로 비틀리면 골반변형이 옵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골반이 비틀린 경우 보통 허리띠를 착용하는 부분인 골반 뼈 앞 양 쪽 높이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때 양 쪽 높이 중 전상장골극 부위가 아래로 내련간 부위가 문제가 되는 부위입니다.

 

2. 중둔근 긴장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방법

골반과 고관절에 붙은 많은 근육 중 중둔근이라는 근육이 있는데 이 근육은 일어선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올리면 긴장이 되는 구조입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이때 골반이 많이 틀어진 사람이라면 중둔근의 기능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긴장도가 덜 하게 되면서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비틀거리거나 다리를 들어올리기 어렵습니다. 오른쪽 다리를 들어올리기 힘들면 왼쪽 중둔근이 약해진 상태이고 반대쪽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중둔근이 약한 부분은 골반이 틀어져 있는 상태이며, 또한 앞서 확인한 전상장골근이 앞으로 나온 상태일 것입니다.

 

3. 대퇴근막장근 긴장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방법

선 자세에서 양 옆으로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근육은 대퇴근막장근입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대퇴근막장근은 골반이 앞으로 나갈 때 긴장을 하게 되고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뻣뻣해집니다. 양 쪽 다리를 하나씩 옆으로 들어올렸을 때 유독 긴장되고 뻐근한 쪽이 있다면 그 쪽 골반이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4. 발을 꺾어서 확인하는 방법

양발을 11자 모양으로 똑바로 선 자세에서 양 쪽 발목을 안쪽으로 돌려가면서 그 가동범위랑 각도를 확인합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이때 고관절 주위에 근육이 부드러워야 안쪽으로 회전이 잘 되는데 골반이 틀어졌다면 고관절을 안 쪽으로 돌려주는 근육이 긴장하게 되어 원활하게 돌릴 수 없습니다.

 

골반이 틀어진 경우에는 무릎, 허리, 어깨, 목까지 영향을 주므로 위의 자가진단을 통해 확인한 다음 통증이 계속되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 바로가기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