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몸의 전체적으로 연결 돼 있기 때문에 한 쪽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여러 곳에 피해를 줍니다. 특히 몸의 상·하체를 연결하고 중심을 잡아주는 골반은 신체 균형을 잡아주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의 골반이 다양한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이며, 앞·뒤, 좌·우로 복합적으로 틀어지기도 합니다. 골반이 틀어진 상태로 생활하다 보면 온몸으로 통증이 발생되고 신체 불균형이 평생 지속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골반의 불균형 상태를 누구나 쉽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전상장골극 이용한 확인방법
골반 뼈 중 가장 넓은 뼈를 장골이라고 하는데 장골이 양 쪽으로 비틀리면 골반변형이 옵니다.
골반이 비틀린 경우 보통 허리띠를 착용하는 부분인 골반 뼈 앞 양 쪽 높이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때 양 쪽 높이 중 전상장골극 부위가 아래로 내련간 부위가 문제가 되는 부위입니다.
2. 중둔근 긴장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방법
골반과 고관절에 붙은 많은 근육 중 중둔근이라는 근육이 있는데 이 근육은 일어선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올리면 긴장이 되는 구조입니다.
이때 골반이 많이 틀어진 사람이라면 중둔근의 기능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긴장도가 덜 하게 되면서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비틀거리거나 다리를 들어올리기 어렵습니다. 오른쪽 다리를 들어올리기 힘들면 왼쪽 중둔근이 약해진 상태이고 반대쪽도 마찬가지입니다.
중둔근이 약한 부분은 골반이 틀어져 있는 상태이며, 또한 앞서 확인한 전상장골근이 앞으로 나온 상태일 것입니다.
3. 대퇴근막장근 긴장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방법
선 자세에서 양 옆으로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근육은 대퇴근막장근입니다.
대퇴근막장근은 골반이 앞으로 나갈 때 긴장을 하게 되고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뻣뻣해집니다. 양 쪽 다리를 하나씩 옆으로 들어올렸을 때 유독 긴장되고 뻐근한 쪽이 있다면 그 쪽 골반이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4. 발을 꺾어서 확인하는 방법
양발을 11자 모양으로 똑바로 선 자세에서 양 쪽 발목을 안쪽으로 돌려가면서 그 가동범위랑 각도를 확인합니다.
이때 고관절 주위에 근육이 부드러워야 안쪽으로 회전이 잘 되는데 골반이 틀어졌다면 고관절을 안 쪽으로 돌려주는 근육이 긴장하게 되어 원활하게 돌릴 수 없습니다.
골반이 틀어진 경우에는 무릎, 허리, 어깨, 목까지 영향을 주므로 위의 자가진단을 통해 확인한 다음 통증이 계속되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영상출처: 유튜브, 연세신통TV 영상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