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다양하고 지능화 되는 해킹 범죄...
스마트폰 설정 방법 몇 가지 반드시 끄는 것이 해킹 예방방법

범죄자들의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고도화되어 우리의 개인정보를 신경쓰고 지키지 않으면 언제 어떻게 유출될지 모르는 시대입니다.

 

그들은 주로 우리의 개인정보를 가장 많이 담고 있고 매일 쓰는 스마트폰을 노리고 있으며 수법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유출 된 개인정보는 대출피해나 보이스피싱 등 악질적인 범죄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본인의 개인정보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스마트폰의 설정변경을 통해 보안을 철저히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스마트폰 기기에 따라 설정방법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아래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한 내용을 참고하시고 본인의 핸드폰에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나도 모르게 자동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끄기

 

휴대폰의 설정 메뉴를 찾아 들어갑니다. 아래로 내려 개인정보 보호메뉴를 선택하고 ‘진단 데이터 보내기’를 꺼야 합니다.

이 기능은 내가 쓰고 있는 휴대폰이 사용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그 정보를 자동적으로 휴대폰 제조사에 보내는 기능입니다.

 

제조사한테는 좋은 취지에서 만든 기능이지만 내가 원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며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기능은 중간에서 범죄자들이 해킹을 통해 이 부분을 노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내 위치 개인정보 보호 설정하는 방법

 

앞선 과정과 마찬가지로 개인정보 보호 메뉴에서 권한관리자 속 ‘위치 메뉴를 선택합니다.

활성화 된 메뉴를 살펴보면 항상 허용됨어플과 사용 중에만 허용됨을 구분하는데 항상 허용됨설정을 이용하게 되면 언제 어디서든 내 위치 정보를 추적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용 중에만 허용됨설정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혼돈을 주는 이미지 안 오게 하는 방법

 

MMS 문자(Multimedia Messaging Service)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의미하며, 사진,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말합니다.

이 기능은 대부분 기본설정으로 켜져 있어 MMS 문자가 자동으로 수신 되게 됩니다. 그러면 이미지 파일 가장한 해킹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쉬워 범죄자들의 쉬운 먹잇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MMS 문자 자동 수신 설정을 변경하고 본인이 확인 된 번호나 출처에 대해서만 연결해서 이용해야 합니다.

 

이 설정을 끄는 방법은 휴대폰 문자메시지 설정 메뉴에서 추가설정으로 들어가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선택합니다. 그 후 자동 다운로드를 끄면 완료됩니다.

 

소중한 내 개인정보를 지키는 것은 내 자신입니다. 개인정보가 가장 많이 담긴 휴대폰의 설정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불필요한 설정은 반드시 꺼놓는걸 추천드립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