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해진 면역력이 보내는 신호
면역력만 올려도 병원신세 피할 수 있다.

면역력이란 쉽게 말해 우리의 몸에 형성된 내부의 체계가 외부의 항원에 대해 방어하는 힘을 말합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외부 요인에 의한 질병에 쉽게 노출되고 각종 질병에 시달리게 됩니다.

 

그래서 평소에 면역력 관리를 소홀해서는 안 되고 떨어진 면역력을 빨리 회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행히 똑똑한 우리의 몸은 면역력인 내부 체계가 무너지면 다른 신체 반응으로 신호를 미리미리 주고 있습니다. 이때 빨리 알아차리고 떨어진 면역력을 회복해야 더 큰 질병에 시달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내 몸의 면역력이 떨어졌다는 증거

1.대상포진이 발생한다.

대상포진이란 우리 몸에 침투한 바이러스가 신경계를 따라 통증을 동반하면서 수포 증상이 피부에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주로 가슴과 배, 얼굴에 물집 형태의 병변이 나타납니다.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발병하므로 60세 이상의 환자가 많은 편이나 젊은 층에서 나타난다면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대상포진이 발생 후에도 면역력 관리에 소홀하면 추가적인 세균 감염으로 다른 질병을 일으키고 뇌수막염 등으로 이어 질 수 있습니다.

 

2. 배탈이 자주 난다.

평소에는 없던 배탈 증상이 자주 나타났다면 면역력 저하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면역력이 저하 되면 위나 장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이 떨어져 소화기능의 저하나 잦은 배탈의 원인이 됩니다.

인간의 몸 중 면역세포가 가장 많이 있는 곳은 장 속입니다. 그 만큼 면역력이 우리 장 속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합니다. 면역력이 강하면 장 속 점막도 강화되어 같은 바이러스가 든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면역력이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은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3. 잦은 감기와 오래 지속되는 감기

추운 겨울에 체온 관리가 안 되는 경우 감기에 걸리기 쉽지만, 감기는 개인의 몸 상태와 면역력에 따라 추위와는 관련 없이 걸릴 수도 있는 질병입니다.

그러므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은 추위와 상관없이 잦은 감기에 시달리고 그 기간이 오래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감기약도 치료제가 아닌 증상 억제 혹은 완화를 시키는 약이므로 근본적인 면역력을 상승 시키는 것이 해결 방안입니다.

 

4. 혀에 하얗게 낀 설태

건강한 혀의 색깔은 옅은 분홍색을 띄고 있으며, 설태는 혀 표면에 하얗게 혹은 검게 변한 상태 등을 말합니다. 혀는 우리 몸의 신체능력이 떨어지면 여러 가지 형태로 많은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설태도 그 중에 하나입니다.

이러한 설태가 양치질 후에도 없어지지 않고 아침마다 얼룩덜룩한 설태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스트레스나 신체적 균형이 무너진 상태로 면역력 저하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