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조금만 마셔도 이 약을 피해야한다
모르고 먹었다가 응급실 실려 가는 사례 증가

인간의 몸은 누구나 술을 마시면 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간은 우리의 몸에서 섭취하는 다양한 성분들을 분해, 해독, 흡수하는 등 많은 역할을 하는데 이때 알콜을 섭취한 상태에서 먹으면 안 되는 성분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을 매일 마시지는 않지만 질병에 따라 약이나 영양제는 매일 또는 수시로 챙겨 먹습니다.

 

일부 약이나 영양제를 먹고 있는 상황에서 술을 먹으면 매우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데도 사람들은 너무 쉽게 생각하여 건강을 악화 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술 마시고 절대 먹으면 안 되는 약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술 마시고 절대 먹으면 안 되는 약

1. 타이레놀 등 (아세트아미노펜)

두통, 생리통, 근육통 등에서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은 술 마시고 먹으면 안 되는 약입니다.

왜냐하면 알콜로 인해 간이 지쳐있는 상태에서 이 성분을 잘 분해하지 못하므로 체내에 계속 쌓이게 되고 이렇게 계속 쌓인 성분들이 간독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고지혈증약과 무좀약

간에 있는 효소에 의해 고지혈증약과 무좀약이 분해하고 흡수되는 작용을 합니다. 그런데 술을 마시게 되면 간의 분해·흡수하는 대사능력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간의 과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그러면 약의 농도가 더 높아지고 높아진 약의 농도 때문에 부작용 등이 따라 올 수 있습니다.

 

3. 항생제 (메트로니다졸)

항생제인 메트로니다졸은 많은 감염증에 처방되는 약입니다. 이 약을 복용 중에 술을 마시게 되면 간에 오는 손상이 심해집니다.

그 이유는 숙취가 쌓이지 않게 아세트알데히드성분을 간에서 분해해야 하는데 메트로니다졸이 분해를 방해하므로 술을 조금만 마셔도 많이 마신 것처럼 심한 숙취를 겪을 수 있습니다.

 

4. 알러지, 비염 등 (항히스타민제)

알러지와 코 감기 등에 많이 들어간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작용을 차단하는 약물입니다. 술을 마시고 이 성분의 약을 복용하면 중추신경을 억제하는 효과가 심해지므로 정신이 몽롱할 수 있고 졸음이 쏟아지거나 혼미해져 길에서 쓰러지는 등 2차 사고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5. 염증약과 혈관질환약 (소염진통제, 항혈전제)

염증을 억제하고 완화시키는데 필요한 소염진통제와 혈관 질환에 사용하는 항혈전제는 모든 소화계통 위장관 계통에 부작용으로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술을 마시게 되면 위 점막 등에 자극을 많이 받게 되므로 음주 후 이 약 성분들은 먹는다면 극심한 출혈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실제 음주 후 이 약을 복용하여 응급실에 실려가는 환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간은 조금 손상이 있더라도 잘 티가 나지 않는 신체기관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독성물질이 계속 쌓이다보면 어느새 간이 망가진 상태가 되고 간이 수행하는 많은 역할들을 못하게 되면 인간의 몸은 쉽게 망가집니다.

 

그러므로 음주는 가능한 적당히 마셔야하고 복용중인 약이 있다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