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다가오는 무더운 여름에는 조금만 걸어도 땀이 쏟아집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땀이 옷과 속옷으로 스며들고 세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세탁 후에도 땀 냄새 또는 불쾌한 냄새가 남아있어 얼마 못 입고 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옷의 수명을 늘릴 수 있게 남은 땀 냄새와 불쾌한 냄새를 말끔히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여름철 빨랫감에서 땀 냄새가 나는 이유는 보통 땀에서 배출된 노폐물이 잘 세탁되지 않았거나 남은 세제, 습한 환경 때문에 번식한 세균 및 곰팡이 때문에 나는 등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많이 쓰고 잘 알려진 방법이 헹구는 물에 산성 효과를 주고 살균을 할 수 있는 식초를 조금 넣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 방법을 써도 냄새가 남아있다면 세탁하기 전에 냄새를 잡아야합니다. 먼저 냄새나는 옷을 식초 섞은 미지근한 물에 푹 담가 놓고 30분 정도 때를 불리고 스며들게 그대도 놔둡니다. 이때 식초를 대신해서 구연산을 사용하여도 괜찮습니다그 다음 잘 불린 옷을 세탁하면 전과 같은 불쾌한 냄새가 싹 사라집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옷을 말리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습도가 높은 여름에 빨래를 천천히 말리다보면 축축히 젖은 빨래에서 세균 및 곰팡이 번식이 일어나며 세탁한 의미가 없어집니다.

 

그래서 말리는 과정에서 빨래는 가능한 빠르게 바짝 말리고 소독용 에탄올을 분무기에 넣어 뿌려주면서 말리면 냄새가 싹 날아갑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옷을 큰 비닐봉지에 넣고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뜨거운 바람을 가하여 말리면 섬유 속 냄새 성분들이 사라집니다.

 

그리고 옷을 신문지로 말아서 봉지에 넣은 다음 다시 냉장고에서 1시간정도 넣어주면 신문지가 옷의 습기를 모두 빨아들여 남은 냄새를 싹 잡아줍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