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무더위와 습한 날씨 때문에 불쾌지수가 올라가는 여름철, 깨끗이 세탁 후 입은 옷에서 쾌쾌한 냄새가 난다면 더욱 기분이 나빠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옷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이유와 해결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세탁 후에도 옷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이유는 섬유 속 ‘모락셀라’라는 세균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모락셀라 세균은 일상생활 공간에 많이 있는 비교적 흔한 세균이며, 인간의 피부에도 나타나게 됩니다.

모락셀라균과 모든 세균이 그렇듯 습한 환경일수록 번식이 잘 되고 오래 남아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빨래나 수세미 입니다.

 

특히 우리가 입는 옷은 세탁할 때 세제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세제 찌꺼기와 땀에서 배출 된 피지, 노폐물 등을 모락셀라균이 먹고 번식합니다. 그리고 번식한 모락셀라균 때문에 옷에 한 번 냄새가 배면 잘 사라지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세균의 번식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번식할 수 있는 시간을 줄여야합니다. 습한 상태로 빨래 말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세균 번식이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옷을 널때는 다른 습한 옷감과 일정간격을 유지해야하고, 노폐물이 직접적으로 닿는 안감을 밖으로 오도록 뒤집어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햇볕이 잘 안 드는 실내에서 말릴때는 제습기나 선풍기를 작동시켜 말리는 것도 좋으며, 적당히 말랐다면 다리미로 다려서 말리는 것도 좋습니다. 다리미로 말리면 가열하면서 옷감이 빨리 마르고 세균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미 옷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경우라면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많이 하는 실수가 냄새를 없애려고 섬유유연제를 더 추가하거나 향수를 뿌려 냄새를 없애려고 하지만 이는 완전한 해결책이 아닙니다.

 

일시적인 냄새만 사라질 뿐 섬유속 세균과 곰팡이는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향이 날아가면 다시 냄새가 나게 됩니다. 이럴 때는 세탁 시 헹구는 과정에서 식초를 2스푼 정도 넣어주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식초의 산성은 살균효과가 뛰어나 세균번식을 막고 냄새를 없앨 수 있습니다. 이와 유사한 산소계 표백제에 옷을 담가뒀다가 세탁하면 강력한 표백 성분 때문에 세균과 곰팡이를 제거하여 냄새를 없앨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